이상적인 토양
- 벼 생육에 필요한 양 수분을 모든 생육시기에 원활하게 공급해야 함
- 벼 뿌리의 발달이 좋고 재해에 견딜 수 있는 완충기능을 가져야 함
객토
- 논의 찰흙 함량
- 모래논 : 찰흙함량 15%로 증대되도록 객토
- 질흙논 : 찰흙함량 15%로 조절 (투수성 및 농기계작업 능률증대)
- 대상논과 객토흙의 찰흙함량에 따라 갈이흙깊이 18cm의 점토함량을 15%로 개량 될 수 있는 객토량을 추천
- 객토흙의 찰흙함량에 따라 다음 공식에 의거 객토량을 계산 추천

주) 18cm : 개량목표 갈이흙 깊이 / 15% : 개량목표 찰흙함량 / 1.25 : 토양의 가비중 / 10 : 상수
유기물 시용
- 유기물의 적정 범위 : 25 ~ 30g/kg
- 유기물 함량은 지역 생태에 따라 일정량 이상 증가하지 않으나 벼짚이나 퇴비 등 계속적인 투여 필요(땅심 유지)
규산질 비료
- 유효규산함량 130ppm 미만 논에 규산성분을 시용하여 도열병, 냉해 등 재해저항성이 증대됨
- 규산질비료 시용으로 9% 수량 증수 효과가 있고 식물체의 규산흡수량 및 규질비가 높아져 목도열병 이병수율이 현저히 감소함
- 가을갈이 또는 봄갈이 전에 미리주어서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킴
- 규산질 비료는 밑거름으로 주며 최소한 밑거름 주기 2주전까지는 시용
논 깊이갈이
- 볏짚 퇴비 등을 시용한 논은 반드시 18cm 이상 깊이갈이 실행
- 벼 뿌리의 발달은 내 재해의 기본이므로 뿌리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, 깊게 갈면 토양의 완충능력이 좋아짐
- 미숙논, 볏짚 시용 논은 반드시 가을갈이 실시
- 모래논은 봄갈이가 좋음
- 모래논에서도 생짚 400kg 이상 시용한 논은 반드시 가을갈이